2025/07/11 2

소액 상속 재산이 보험금뿐일 때 신고와 세금 처리 요령

소액 유산 중 보험금만 남은 경우, 상속 대상이 되는지부터 따져야사망자의 남긴 재산이 실질적으로 '보험금'뿐인 경우, 이를 상속 재산에 포함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하는 유족이 많다. 보험금은 일차적으로 계약에 따라 수익자 지정 여부에 따라 상속 대상 여부가 달라진다. 가장 핵심적인 기준은 “사망 보험금의 수익자가 누구로 지정되어 있는가?”이다.① **지정 수익자(예: 자녀, 배우자 등)**가 명시된 경우, 해당 보험금은 상속 재산에 포함되지 않고 수익자의 고유재산으로 처리된다. 즉, 상속인들 간 협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상속세 신고에도 포함되지 않는다.② 수익자가 ‘피보험자 본인’ 또는 ‘법정상속인’ 등으로 지정된 경우에는 보험금이 상속 재산으로 간주되어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된다. 이 경우, 수령자 간 ..

소규모 유산 상속, 해외 거주 상속인이 있을 때 처리 절차와 유의점

해외 거주 상속인도 '상속인' 자격은 동일하게 인정된다소규모 유산 상속에서도 해외에 거주 중인 형제자매나 자녀가 상속인으로 포함될 경우, 절차상 복잡성이 커질 수 있다. 우선 법적으로 해외 거주자는 국내 거주자와 동일한 상속인 자격을 가지며, 상속분도 민법상 규정에 따라 균등하게 인정된다. 단지 ‘거주지’의 차이일 뿐 상속권 자체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유산 협의나 등기 절차 시에도 해당 상속인의 동의와 서류가 반드시 필요하다. 문제는 이 해외 상속인의 ‘확인’ 절차와 ‘의사 표시’가 비대면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협의분할서, 위임장, 인감증명서와 같은 서류를 한국 기준에 맞춰 제출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적잖은 행정적 어려움이 발생한다.해외 상속인의 경우 주민등록번호가 없고 인감제도도 ..